물 재이용이 왜 필요할까요?

[

기후 변화와 가뭄증가. 대한민국은 지난 100년간 약 1.5℃ 상승 지구 평균의 2배.

우리나라 1인당 강수량은 2,609㎥으로 세계평균 15,158㎥의 1/6수준입니다.

]

상수도

상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모든 사람이 쓰기에 안전해야 합니다. 따라서 사람에게 공급되는 수돗물은 수질기준을 거쳐 공급됩니다.
또한 물이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수시로 물을 검사하고 오염도를 측정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합니다.

중수도

중수도는 한 번 사용한 수돗물을 생활용수나 공업용수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시설입니다. 생활오수가 중수 처리되어 식수를 제외한 나머지 잡용수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수도의 사용량을 줄이고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하수도

하수란 가정에서 사용하고 남 오염된 물, 공장에서 사용하고 난 삼업폐수 등을 말합니다.
다쓴 후 더러워진 물은 하수도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집니다. 하수처리장은 물을 정수해서 자연으로 되돌려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수돗물 절약을 생활화 합시다


세탁할때

  • 빨랫감은 한번에 모아 빨아 30% 절수
  • 세탁기는 알맛은 용량, 세탁기 수위는 알맛게 50% 조절
  • 헹굼은 적정횟수, 마지막 헹굼물 재이용 50% 절수

샤워할때

  • 샤워시간 반으로 줄여 50% 절수
  • 샤워헤드 절수형으로 바꿔 40% 절수

양치질할때

  • 양치질 할 때 물컵 사용으로 70% 절수

화장실에서

  • 기존 변기 수조에 절수기 설치 또는 물 채운 병을 넣어 20% 절수
  • 변기 수조를 절수형으로 설치하여 50% 절수
  • 변기 수조 수압조절, 누수여부 확인으로 물 아끼기

세척할때

  • 설거지통 이용으로 60% 절수
  • 수도꼭지에 물조리개를 부착하여 20% 절수
  • 수도꼭지에 절수기 설치로 20% 절수

적당한 세제사용

  • 세탁 및 식기용 세제, 삼푸와 린스 사용은 많은 물이 필요할 뿐 아니라 수질도 오염시킵니다.
  • 적당량을 사용하면 물도 절약하고 환경오염도 줄인다.